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왜 SaaS 방식의 EDI가 좋을까?
    EDI 알아보기 2023. 10. 28. 12:00

     

     

    현대 기업 환경에서 정보는 가장 중요한 자산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교환하는 도구로 전자 데이터 교환(EDI)는 오랜 시간 동안 기업들에게 선택받아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IT 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디지털화의 진전에 따라, 전통적인 EDI의 한계가 점점 더 뚜렷하게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드러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많은 기업들이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의 EDI로의 전환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전통적인 온프레미스 방식의 EDI와 SaaS 방식의 EDI에 대해서 작성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EDI의 역사

     

     

    온프레미스 EDI는 정보 기술의 초기 단계부터 시작하여, 지난 수십 년 동안 기업 간의 정보 교환 방식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오늘날에도 많은 기업들이 온프레미스 방식의 EDI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보안, 통제, 그리고 특정 업무 요구 사항에 대한 맞춤화의 필요성 때문입니다.

     

    결국 온프레미스 방식의 EDI를 살펴보면, 정보 기술의 초기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여기에는 몇 가지 주요한 이정표와 발전 단계가 포함됩니다.

     

     

    정보화시대의 처음부터 현재까지

     

    • 1960년대: EDI 프로토타입 시작
      • EDI의 초기 형태는 1960년대에 미국 군대에서 물류와 공급망 관리를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 이 시기의 EDI는 텔레그램과 유사한 방식으로 정보를 교환했습니다.

     

    • 1970년대: 표준화의 시작
      • 1970년대에는 여러 산업 분야에서 EDI의 잠재력을 인식하기 시작했습니다.
      • 이로 인해 ANSI X.12 (미국 국립 표준 협회)와 같은 표준화 기구들이 EDI 메시지 형식을 표준화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습니다.

     

    • 1980년대: 기술의 발전과 확산
      • 1980년대에는 개인용 컴퓨터와 네트워킹 기술의 발전으로 EDI가 상업적으로 널리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 이 시기에는 온프레미스 솔루션으로 EDI 소프트웨어를 기업 내부에 설치하고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 1990년대: 인터넷의 활용
      • 1990년대에는 인터넷의 등장과 함께 EDI가 더욱 발전하고 확산되었습니다.
      • 웹 기반 EDI 솔루션들이 등장하면서, 기업들은 비용 효율적으로 EDI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그러나 보안 문제로 인해 많은 대기업들은 보안과 통제를 위해 온프레미스 EDI 솔루션을 계속 사용했습니다.

     

    • 2000년대 이후: 클라우드와 통합
      • 2000년대 초반부터 클라우드 기술의 발전과 함께 EDI 서비스가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습니다.
      • 현재는 많은 기업들은 데이터 보안, 커스터마이징, 및 통제의 필요성으로 클라우드로 전환중입니다.

     

     

     

    세계적 기업들이 SaaS 기반의 EDI로 전환했던 이유

     

    온프레미스 방식의 EDI에서 SaaS 기반의 EDI로의 전환은 정보 기술 분야의 여러 핵심적인 발전과 트렌드에 기반하여 발생하였습니다.

    인터넷의 발전과도 연관이 있으며 기술의 전환 배경과 주요 원인은 크게 5가지 요인으로 분류됩니다.

     

     

    1. IT 인프라스트럭처의 발전

    클라우드 컴퓨팅의 등장은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물리적 인프라를 유지보수하는 것에서 벗어나, 가상화된 환경에서의 운영을 선호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는 초기 비용 절감, 유연한 리소스 할당 및 확장성 등의 이점을 제공하였습니다.

     

     

    2. 보안의 향상

    초기 클라우드 환경은 보안 문제로 인해 기업들의 우려를 불러일으켰습니다. 그러나, 고급 암호화 프로토콜, 다중 인증(Multi-Factor Authentication), 그리고 첨단 보안 기술의 발전으로 클라우드 환경의 보안이 강화되었습니다.

     

     

    3. 표준화 및 API 중심의 아키텍처

    웹 서비스와 RESTful API의 표준화는 다양한 시스템 간의 통합이 용이해졌습니다. SaaS 기반의 EDI는 이러한 API를 활용하여 다양한 엔터프라이즈 리소스 플래닝(ERP) 시스템과의 원활한 통합을 제공하였습니다.

     

     

    4. 운영 비용의 최적화

    SaaS 모델은 온디맨드(On-Demand) 방식으로 리소스를 활용하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비용을 지불하는 구조로 전환하였습니다. 이는 온프레미스 방식에서의 고정된 유지보수 비용과 대조적입니다.

     

     

    5. 글로벌 확장의 필요성

    기업들의 국제적인 확장에 따라 데이터 센터의 지리적 위치와 접근성이 중요해졌습니다. 클라우드 기반의 SaaS EDI는 글로벌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를 통해 원활한 접근성과 지연 시간 최소화를 제공하였습니다.

     

     

     

    국내 SaaS 기반 EDI의 선두주자, 커넥트 서비스

     

     

    최근 IT 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디지털화의 진전들은 결국 전통적인 EDI의 한계가 점점 더 뚜렷하게 드러나는 결과를 만들어 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SAP 보안분야의 업계 1위인 인스피언에서 혁신적인 EDI 서비스를 상용화했습니다.

    국내 EDI 서비스에 있어서 선두를 달리는 커넥트 서비스의 가장 큰 장점과 비용과 강력한 보안 그리고 편의성입니다.

     

     

     

    커넥트서비스의 혁신적인 장점들

     

     

    1. 경제성

    초기 비용은 기업의 IT 투자에 있어 큰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전통적인 EDI는 별도의 서버, 소프트웨어, 그리고 인프라의 구축이 필요하였습니다. 그러나 커넥트 서비스는 이러한 초기 투자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부보조금을 지원해드리고 있습니다.

     

     

    2. 유연성 및 확장성

    기업 환경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합니다. 따라서 정보 교환 도구 역시 이러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SaaS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되므로, 기업의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손쉽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3. 업데이트와 보안

    IT 환경에서는 보안이 항상 최우선 고려사항입니다. 전통적인 EDI는 시스템 업데이트 및 보안 패치 적용에 시간이 오래 걸리며, 복잡한 절차가 필요합니다. 반면, 커넥트서비스는 CI / CD를 채택하여,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업데이트하고 최신 보안 패치를 적용합니다.

     

     

    4. 접근성

    현대 기업 환경은 글로벌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전 세계 어디에서나 안전하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합니다. 커넥트서비스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완벽하게 만족시키며 초기 설치시 매핑을 무료지원할 뿐만 아니라 관련 고객센터를 운영중입니다.

     

     

    5. 통합성

    많은 기업들은 다양한 IT 시스템과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커넥트서비스는 이러한 다양한 시스템과의 통합이 용이하여, 기업의 작업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6. 지속적인 지원

    SaaS 형태의 EDI 제공업체들은 고객에게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즉시 해결할 수 있으며 비용 및 설치 관련 문의 역시 가능합니다.

     

     


    댓글

Designed by CONNECT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