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커넥트 서비스’ TTA 클라우드 서비스 품질·성능 인증카테고리 없음 2024. 2. 21. 10:15
커넥트 서비스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AI융합시험연구소’의 클라우드 서비스 적격 평가를 통과했습니다. 클라우드 적격평가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요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서비스 신뢰성을 재고하기 위해 서비스 분석 및 필수 요건에 대한 평가를 진행했습니다. 커넥트 서비스는 이번 평가에서 △주문형 셀프서비스(On-demand Self Service) △광범위한 네트워크 액세스(Broad Network Access) △멀티 테넌시(Multi-tenancy) △리소스 풀링(Resource Pooling) △신속한 탄력성 △측정 서비스 등의 평가 항목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로서의 기술력과 성능 적합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실제 운영 중인 커넥트 서비스에서 평가를 수..
-
파트너사에서 요구하는 EDI, 무엇이 문제일까?EDI 알아보기 2024. 2. 16. 14:00
최근의 EDI는 클라우드가 도입되면서 기업 간 협업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전략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특히 웹 기반 EDI(웹EDI)는 저렴하고 간편한 접근성으로 많은 기업들의 사용중이지만, 간혹 파트너사가 의무적으로 사용해달라고 요청한 웹EDI 도입 후에 수많은 불편함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웹EDI 도입 후 업무 효율성 저하의 원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WEB-EDI 도입 후, 오히려 업무 효율 저하 EDI 시스템 도입은 기업 간 협업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전략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특히 웹 기반 EDI는 저렴하고 간편한 접근성으로 많은 기업들의 관심을 받고 있지만, 파트너사가 의무적으로 요구하는 WEB..
-
커넥트 서비스는 국내 Cloud 서비스상에서 운영될까?EDI 알아보기 2024. 2. 8. 17:50
현재 커넥트서비스는 AWS(Amazon Web Services) Seoul Region의 클라우드컴퓨팅을 활용해 EDI 서비스를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Amazon Web Services(AWS)는 익히 알고 계시는 아마존닷컴의 자회사이며, 이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기업입니다. 커넥트 서비스는 국내 뿐 아니라, 글로벌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므로, 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는 AWS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4년부터는 공공부문에도 커넥트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신속하고 혁신적인 서비스 개발만큼, 정보보안 역시 완벽을 기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AWS의 가용영역 AWS에는 사용자에게 매우 유리하고 적합한 핵심 기능이 있습니다...
-
대용량 파일도 EDI를 통해 외부와 연계 가능할까?EDI 알아보기 2024. 2. 7. 14:17
이제는 EDI를 통해 대용량 파일 전송과 더불어 신속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위한 혁신적인 기술의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EDI를 통한 데이터의 표준화와 자동화 EDI는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왔습니다. 표준 데이터 형식을 사용하여 송수신 양측 간의 데이터 형식을 일치하도록 발전했고, EDI를 통한 데이터 표준화와 자동화가 대용량 전송에서도 혼돈과 불일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 대용량 전송에서의 오류 최소화 EDI의 표준 데이터 형식은 데이터 입력 및 해석의 일관성을 제공하며, 대용량 파일 처리에서 발생하는 혼돈과 오류를 최소화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2. 자동화된 프로세스 EDI를 통한 대용량 파일 처리는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데이터..
-
AS2 프로토콜로 EDI 연계를 요구할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EDI 알아보기 2024. 1. 29. 09:38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준 문서 형식인 EDIFACT와 X12는 비즈니스 간에 데이터를 일관되게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며, 다양한 산업과 국가 간의 효율적인 협업을 가능하게 해왔습니다. 종종 정보보안이 매우 중요한 산업군에서는 데이터의 기밀성, 무결성, 인증 등을 강화하기 위해 업그레이드가 필요하여 신규 고객사에서 EDIFACT나 X12가 아닌 프로토콜로 거래를 요청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라면 기존에 구축한 EDI 솔루션에서는 지원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오늘은 이런 난감한 상황에 대한 대처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사 솔루션에서 지원하지 않는 AS2 또는 TLS를 고객사에서 요청한다면? 이미 EDI 솔루션을 구축했다면 보통은 EDIFACT 또는 X12를 주로 사용할 것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