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 관련 기술 용어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커넥트 서비스 2022. 9. 2. 11:00

 

HTML은 지난 XML이나 JSON보다 좀 더 친숙하게 들어봤을 겁니다.

오늘은 지난번 JSON에 이어 웹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한 종류인 HTML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은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라고 합니다.

인터넷 서비스의 하나인 월드 와이드 웹(WWW)을 통해 볼 수 있는 문서를 만들 때 사용하는 표준 마크업 언어입니다.

하이퍼텍스트를 작성하기 위해 개발되어, 터넷에서 웹을 통해 접근되는 대부분의 웹 페이지가 HTML로 작성됩니다.

HTML은 문서의 글자크기, 글자색, 글자모양, 그래픽, 문서이동(하이퍼링크) 등을 정의하는 명령어로 홈페이지를 작성하는 데 쓰입니다.

하이퍼텍스트 기능을 이용하여 외부 웹 페이지나 파일 등 다른 리소스에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면 웹 브라우저와 같은 HTML 처리 장치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자바스크립트, 본문과 그 밖의 항목의 외관과 배치를 정의하는 CSS 같은 스크립트를 포함하거나 불러올 수 있습니다.

HTML에서는 문서가 별도의 코드(code)를 인식하여 완벽한 하이퍼텍스트를 만들 뿐만 아니라 단어 또는 단문을 인터넷의 다른 장소나 파일로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

이와같이 HTML로 작성된 문서를 HTML문서라 하며, HTML로 작성된 문서를 웹 브라우저가 해석하여 이용자에게 보여주게 됩니다.

결국 HTML은 데이터를 보여주기 위한 목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HTML 태그

 

 

HTML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는 태그(tag)라고 하는데 꺽쇠괄호 "<>"를 사용하여 나타냅니다.

HTML의 태그는 미리 정의되어 있어서, 각각의 태그와 속성을 사용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태그는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 2개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img", "br"등의 태그와 같이 시작 태그만으로 그 영향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으며, 종료 태그는 슬래시 문자 "/"로 시작됩니다.

<head>는 HTML 문서의 메타데이터(metadata)를 정의합니다.

여기서 메타데이터란 HTML 문서에 대한 정보로 웹 브라우저에는 직접적으로 표현되지 않는 정보를 의미합니다.

메타데이터는 <title>, <style>, <meta>, <link>, <script>, <base>태그 등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title>은 HTML 문서의 제목을 정의하며, 웹 브라우저의 툴바(toolbar)에 표시되고, 웹 브라우저의 즐겨찾기(favorites)에 추가할 때 즐겨찾기의 제목, 검색 엔진의 결과 페이지에 제목으로 표시됩니다.

<body>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보이는 내용(content)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태그의 기본적인 형태는 머리부분 <head>...</head>로 이루어지고, 제목은 <title>...</title> 안에 포함됩니다.

<head>

<title>커넥트 서비스</title>

</head>

위와 같은 예로 볼 수 있습니다.

 

 

HTML 전송

 

HTML 문서를 다른 컴퓨터 파일과 같은 방법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HTML 문서들은 대부분 웹 서버에 의한 HTTP나 또는 이메일을 통하여 전송됩니다.

(http에 대해 궁금하시면 아래 포스팅에서 확인하기↓)

 

HTTP와 HTTPS

프로토콜에서 HTTP와 HTTP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토콜이 궁금하시다면, 여기서 확인하세요↓) 프로토콜(Protocol) 클라우드 EDI에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보안 프로

cloudedi.tistory.com

 

출처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31907&cid=58437&categoryId=58437 ​

 

HTML 전송은 웹 서버에 HTML 문서를 저장하고 있다가 클라이언트가 특정 HTML 페이지를 요청하면 해당 HTML 문서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합니다.

그러면 클라이언트는 이 웹 페이지를 해석하여 웹 브라우저에 표현해주는데 이런 웹 페이지를 정적인(Static) 웹 페이지라고 합니다.

 

 


[참고 자료]

 

HTML

웹 문서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본적인 웹 언어의 한 종류이다. 하이퍼텍스트를 작성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인터넷 서비스의 하나인 월드 와이드 웹을 통해 볼 수 있는 문서를 만들 때 사

terms.naver.com

 

 

코딩교육 티씨피스쿨

4차산업혁명, 코딩교육, 소프트웨어교육, 코딩기초, SW코딩, 기초코딩부터 자바 파이썬 등

tcpschool.com